top of page
작성자 사진designthinkinglab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성공을 위해

Digital Transformation(DX)성공을 위해 Design Thinking(DT)이 필요한 이유: 

성공적인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X)을 위해서는 디지털 혁신을 넘어 근본적으로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디자인 씽킹은 고객중심으로 일하기 스피드, 유연성, 개방성 있는 조직문화 구축, 

협력과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 애자일하게 일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성공적인 DX를 위한 7가지 역량 중, 

5가지를 디자인 씽킹을 통해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7가지 역량

① 고객중심 사고 (Customer Centric)

디자인 씽킹은 고객 공감, 고객 경험을 기본 철학으로 하는데, 이러한 부분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궁극적인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Digital Transformation하면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핀테크 등 최첨단 기술을 먼저 떠올리는데요. 물론 이러한 기술도 중요하지만 기술은 수단일 뿐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고객"에 있습니다. 그리고 고객 관점에서 사고하도록 하는데 Design Thinking이 좋은 방법론이 되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DX(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해 DT(Design Thinking)을 하고 있습니다.


출처: 디지털화, ‘파괴’없이도 가능하다 (HBR)

② 협력 (Collaboration) 

디자인 씽킹의 과정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참가들이 팀을 이루어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가는 역동적인 과정 입니다.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협의된 것들에 대한 저항감을 줄여줍니다. 따라서 디자인 씽킹을 통해 자연스럽게 협업의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③ 개방성있는 조직문화 구축 (Open Culture) 

디자인 씽킹은 토론을 통해 끊임 없이 대안을 찾고, 조직이나 직원들 간의 역할을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고 오히려 유동적으로 협력하도록 합니다. 리더가 디자인 씽킹 퍼실리테이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개방성 있는 조직문화를 구축해나갈 수 있습니다. 


④ 스피드, 유연성, 애자일 (Agility and Flexibility)

디자인 씽킹은 문제해결을 위해서 여러 분야에 걸친 실천 학습을 제시합니다. 사람들 사이의 체험적이고 응용된 학습경험을 통해 다양한 관심사와 수용능력을 수용하게 해 줍니다. 즉 의자에 앉아 편하게 전략을 짜는 대신에 직접 나서서 손을 쓰고 실험하게 합니다. 또한, 반복적 실행, 초기의 빠른 실패를 통해 결과적으로 성공에 보다 빨리 이르게 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는 애자일과 맞닿아 있습니다. 


⑤ 혁신 (Innovation) 

디자인 씽킹은 문제를 보는 새로운 관점을 자연스럽게 장려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와해적이고 도발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관습적인 것에서 벗어나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탐구합니다. 더불어 시각화,  물리적 사물, 그리고 사람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질문을 받고 창의성을 고양합니다. 

 
디자인씽킹로고

피플앤인사이트 디자인씽킹랩(Design Thinking Lab)은 다양한 산업에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한 전문가 그룹과 함께 비즈니스 현장에 바로 쓸 만하고 수준 높고, Practical한 전문 프로그램을 선보입니다. 형태는 모방해도 컨텐츠와 경험은 모방 할 수 없습니다.


bottom of page